본문 바로가기

공수도 뉴스소식

오늘의 공수도(가라데) 소식 6

오늘의 공수도(가라데) 소식 6

안녕하세요 떡볶이 만세입니다

늘 부족하고 미흡한 포스팅을 올리는데도

늘 찾아와 주시고 포스팅을 봐주시는 

티스토리 분들께 매우 무한한 감사를

느끼는 바입니다. 오늘 올릴 내용은

오늘의 공수도에 대한 내용인데요

이번에도 포스팅이 부족하고 미흡하지만

그래도 잘 봐주셨음 싶은 마음에 오늘도

START 하겠습니다 ㅎㅎ

 

공수도라 불리는 가라테 바로 알기

 

가라테는 손과 발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일본 무술로서 공격 수단이 주로 두 손과 관절로 집중된 특징을 갖고 있으며 특히 두 손을 쓸 때는 손가락 관절과 손날을 많이 쓰는 편으로 가라테를 수련하는 사람을 가라테카라고 부르는데요. 특히 가라테는 이번 도쿄올림픽에 신설되어 단 1명의 국가대표가 출전했던 종목이기도 하며 2020 도쿄올림픽에서 처음 등장한 정식종목으로 세부 종목으로는 쿠미테(대련)과 가타(품새)가 있다. 도쿄올림픽 한정으로 채택된 종목이라 해당 종목의 올림픽 출전은 처음이자 마지막이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가라테는 그 역사가 매우 오래되어 창시자를 알 수 없으나 오키나와의 류쿠 왕조에서 기원한 무술로 1920년대에 일본 전역에 알려졌고 2차 세계 대전 후 세계로 확산하였으며 고대 인도에서 발생한 가라테가 당나라와 삼국시대였던 우리나라를 거쳐 일본으로 전파된 후 체계가 확립된 것으로 보인다. 이어 일본에서 활성화된 가라테는 세계 각국으로 보급되었는데 1970년도 IOC 승인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IOC 산하 대륙별 경기에서는 정식 종목으로도 채택되었고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아경기대회 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11개의 금메달이 걸려 있으며 세계공수도연맹(WKF) 본부는 프랑스 파리에 있다고도 합니다. 


가라테가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들어오게 된 것은 해방 이후다. 전국으로 '공수도'나 '당수도', '권격도'라는 이름의 도장들이 생겨났다. 그러나 당시의 공수도인들이 1964년 태권도 창립에 대부분 참여하면서 명맥을 지키는 수준으로 유지되다가 다시 보급에 힘을 기울이며 활성화되고 있으며 도쿄올림픽에 적용되었던 내용으로 가라테 경기방식을 알아보자면. 가라테의 가타(품새)는 품새 경기 가상의 적을 상대로 일련의 공격과 방어 동작을 선보이는 종목이다. 선수는 세계 가라테 연맹에서 인정하고 있는 102가지 가타 중 자신이 행할 가타를 선택한다고 하는데요.

 

1명의 선수가 미리 정해진 연속 동작을 연출해 보이는데 7명의 심판 중 3명이 부여한 점수를 가산한 후 별도의 계산식을 적용해 승자를 결정한다. 이러한 포인트 제도는 2019년 1월에 도입되었으며 가타에서 중요한 평가 목록은 힘과 속도, 균형, 리듬, 주먹과 발차기의 강도 등이며 또한 정확함과 동작의 견고함, 각 기술이 의미하는 바를 적절하게 표현해내고 있는지도 중점적으로 평가되며 가라테의 쿠미테(대련)는 대련 경기로 8m x 8m 크기의 매트 위에서 두 명의 선수가 대결을 펼치는 종목이다. 선수는 힘 있고 정확하게 선수의 유효 타격 부위를 공격해야 한다고 하는데요.

 

시합 시간은 3분며, 시간 내에 상대보다 8점을 더 얻거나 3분 동안 상대보다 더 많은 점수를 얻으면 승리한다. 무득점으로 무승부일 경우 심판의 판정으로 승부를 결정한다. 대련의 채점에 있어서 기술에 따라 점수가 달리 매겨진다. 중단치기 및 상단치기는 1점, 중단차기는 2점, 상단차기는 3점을 준다. 상대의 중심을 무너뜨린 다음 중단치기를 성공하면 2점, 상대의 등에 중단치기를 성공했을 때는 2~3점, 상대를 넘어뜨리고 주먹 혹은 발로 상대를 가격했을 때 3점을 준다. 충고와 경고는 따로 구분하며 둘 중 하나를 2번 받으면 상대편에게 1점을 주는데요.

 

3번 받으면 상대방은 2점, 한번 더하면 퇴장이 선언된다. 코트 밖으로 나가는 선수에게는 충고를 줄 수 있고, 상대를 얼굴이 돌아갈 정도 혹은 몸통을 너무 세게 맞추는 등 너무 세게 가격했을 때는 경고를 한다. 헝겊으로 감싼 단단한 물체나 나무를 때리는 훈련을 거듭하면 이런 부위가 단단해진다. 훈련받은 사람은 두꺼운 송판도 맨손이나 맨발로 부술 수 있다. 그러나 시간 조절과 기술 및 정신력도 신체단련만큼 중요시된다고 합니다.

 

한국 공수도, 일본 가라테와 한일 무도 교류전 개최

 

한일 공수도 기술 교류회가 지난 13일부터 16일 3박 4일간 일본 도쿄에서 개최됐다고 27일 밝혔으며 이번 교류회에는 대한공수도총연합회 추해광 회장과 협회 소속 도장의 지도자들, 수련생 및 학부모가 동반 참가하는 등 한국에서는 대한공수도총연합회에 가맹돼 있는 다수의 블랙벨트센터 도장에서 100명의 임원진과 선수들이 참여해 양국의 무도의 기술 교류 및 우호 증진을 다지고 돌아왔다고 하는데요. 대한공수도총연합회의 블랙벨트센터는 태권도, 특공무술의 전통 한국 무술을 기반으로, 공수도, 복싱, 주짓수 등 외래 기술들 분석, 연구해 실전 호신술을 지향하는 단체다. 대회 및 해외 교류를 통해 기술 체계 발전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 교류단으로는 대한공수도 총연합회 추해광 회장, 추진아 사무국장을 포함해 그 외, 태권도 주니어 국가대표 권성빈 코치, 용인대 학점제 무도과 황성용 학과장, 국제무도연맹 강한석 이사장, 강윤석 총재, 장이순 부회장, 김승원 부회장, 허현 부회장, 권순호 이사, 이성규 이사, 박종한 이사, 추정재, 김준수, 정선미 교육 위원 등이 사절단 대표로 참석했다고 합니다.

 

http://www.f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12007 

 

공수도라 불리는 가라테 바로 알기 - FT스포츠

가라테는 손과 발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일본 무술로서 공격 수단이 주로 두 손과 관절로 집중된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두 손을 쓸 때는 손가락 관절과 손날을 많이 쓰는 편이다. 가라테를 수련

www.ftimes.kr

 

https://www.discovery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946252 

 

한국 공수도, 일본 가라테와 한일 무도 교류전 개최 - 디스커버리뉴스(DISCOVERYNEWS)

[디스커버리뉴스=이한결 기자] 한일 공수도 기술 교류회가 지난 13일부터 16일 3박 4일간 일본 도쿄에서 개최됐다고 27일 밝혔다.이번 교류회에는 대한공수도총연합회 추해광 회장과 협회 소속 도

www.discoverynews.kr

 

'공수도 뉴스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공수도(가라데) 소식 8  (156) 2023.04.20
오늘의 공수도(가라데) 소식 7  (136) 2023.03.30
공수도 입문  (139) 2023.02.02
오늘의 공수도(가라데) 소식 5  (73) 2023.01.13
오늘의 공수도(가라데) 소식 4  (233) 2022.09.07